정부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정책에 대해서 시장은 "차라리 할인분양이 낫다"는 반응이 나온다. 매입가격이 시세의 60% 수준에 불과하다며 시장의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가격대를 높여야 한다는 분위기다. ■"시세의 60%엔 못 판다"3일 정부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감정가의 83% 수준에서 매입하겠다고 하지만 그 감정가 자체가 시세보다 한참 낮다"며 "결국 시세의 60% 수준에 넘기라는 것인데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지방의 중소 건설사들은 "감정 절차를 통과해도 실질적인 매입까지 이어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지방 일부 건설사는 '할인분양'이나 '저가 임대'로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 전북 익산의 한 신축 단지는 보증금 9990만원, 월세 10만원에 임대로 내놓았고, 전남 광양의 한 단지도 보증금 1000만원, 월세 60만원의 조건으로 임대를 진행 중이다. 두 단지 모두 초기에는 분양을 목표로 했지만 미분양이 장기화되자 전세금 회수 목적의 임대 전환 전략을 선택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같은 상황에선 LH에 매각하는 것보다 전세보증금이라도 받아 자금을 회수하는 게 낫다"며 "나중에 시장이 회복되면 재분양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임대 전환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 LH 매입 정책도 결국 지난해 건설사 보유 토지 매입과 마찬가지로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며 "시장과 괴리된 기준이 지속된다면 정책 참여는 극소수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일부 중소 건설사들은 정책 참여에 대한 부담도 토로하고 있다. 업체명 공개에 따른 부정적 인식, 정책 참여가 재무 건전성 악화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청 자체가 리스크'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했다. 한 지방 업체 관계자는 "회사 이름이 기사화되면 금융권과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해석할까 두렵다"며 "어지간하면 자체 해결을 시도하려는 이유"라고 밝혔다. ■매입가 현실화·구조 개편 촉구 이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