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가 탄핵소추안 접수 111일만인 4일 이뤄질 예정이다. 그 사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하고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폭탄을 투하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6%에 달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 사태로 정상외교가 단절되면서 미국과 제대로 협상을 하지 못해 높은 관세가 부과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반면 이미 현 정부는 계엄 등으로 신뢰를 잃었고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보면 윤 대통령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크게 다른 결과를 얻지는 못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4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우리나라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한 이후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취임 약 두 달 만에 상호관세를 공식 발표한 것이다. 일단 우리나라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움직임에 맞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을 두 차례 찾는 등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탄핵소추 절차가 진행되면서 통상 협상 과정에 역할을 하지 못했다. 윤 대통령의 부재에 따른 파급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할 수 있었다면 지금보다 상호관세 규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한다. 반면, 국가 수장이 존재했던 다른 나라도 상호관세 예외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므로 큰 영향은 없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리더끼리 먼저 협상한 뒤 세부 내용을 실무급에서 논의하는 '탑다운'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는 카운터파트인 윤 대통령이 부재한 상황이어서 협상력이 떨어졌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A교수는 "예상보다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됐다"며 "윤 대통령 탄핵 소추 과정에서 공백이 생기다보니 트럼프 대통령과 전혀 교류를
산업부 "美 행정명령 부속서 韓 상호1xbet com 25%"…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