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높은 미국의 관세율에도 국내 증시 충격은 제한적이었다. 당분간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불가피하겠지만, 관세 리스크 선반영과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기대 등으로 주식시장이 저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원·달러 환율과 기업들의 실적이 변수로 꼽힌다. ■美 관세쇼크에도 장중 낙폭 축소 3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68.43p(2.73%) 급락한 2437.43으로 시작했다. 우려가 현실로 바뀌면서 장 초반 매도세가 거셌으나 장중 낙폭을 줄여나가 전 거래일 대비 19.16p(0.76%) 하락한 2486.70에 장 마감했다. 코스닥 역시 장 초반 2%대 하락률을 기록하다가 683.49p(-0.20%)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유가1xbet 주소시장에서 외국인이 하루 1조원 넘게 팔아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7960억원어치를 사들였고, 기관 역시 4597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은 6거래일 연속, 기관은 5거래일 연속 매수우위를 이어갔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이 630억원어치 내다 판 반면 개인과 기관은 매수 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바이오와 엔터 업종이 피난처가 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수입품에 26% 관세를 적용하면서도 의약품, 반도체 등 일부 품목에 예외를 둔 영향이 컸다. 코스피, 코스닥 하락세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6.47%), 메디톡스(5.96%) 등 제약·바이오 업종이 선방했다. 관세와 무관한 에스엠(4.03%), 카카오(3.67%) 등 미디어·엔터 업종도 오름세를 보였다.이날 국내 증시에 대해 전문가들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관세정책이 발표됐고 보편관세와 상호관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단기 충격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트럼프의 상호관세 체제 선언을 계기로 트럼프 관세정책의 단기 정점은 확인했다"는 긍정론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표된 상호관세율을 향후 국가별 협상을 통해 타협할 수 있는 일종의 '상한선'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경민 대신1xbet 주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