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동맹국인 우리나라에 26%의 상호관세 폭탄을 떨어뜨린 3일, 트럼프 대통령 측근이 협상을 거치면 충분히 바뀔 수 있다는 조언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한국의 경우 협상카드가 많아 오히려 미 측에서 제안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며 독려키도 했다.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종연구소 주최 세종국가전략포럼에 참석해 "상호관세는 미국과의 협상의 시작점이고, 한국은 굉장한 기회가 있다"며 "액화천연가스(LNG)와 조선업 등 좋은 기회가 있어 여러 딜들이 가능하고, 미 측은 딜을 걸어주길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요청한 바 있는 미 해군 함정 건조·수리를 위한 조선업 협력,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을 위시해 미 측이 한국에 원하는 사안이 명백한 만큼 원만한 협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제언이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한국은 경제적 실익이 상당한 여러 딜을 타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먼저 중국이 해군력을 크게 증강해 한국의 도움이 절실하고,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사업도 우선과제"라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취지가 자유무역이 아닌 '공정무역'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는 점도 함께 강조하기도 했다. 관세 부과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깎으려 하기보다는 한미가 '윈윈'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으로 읽힌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상호관세는 협상을 거치면서 바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공산품을 미국에만 무관세로 수출하는 게 불공평하다는 것이고, 자유롭고 공정하지 못한 무역에 관세를 매기려는 것이다. 자유무역보단 공정해야하고, 여기에 동맹국들도 같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