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아파트 매입 싸늘한 시장
전세보증금 회수해 재분양 추진
"매각 대신 단기임대 전환" 주장도
"신청 자체가 리스크" 우려도 봇물
정부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정책에 대해서 시장은 "차라리 할인분양이 낫다"는 반응이 나온다. 매입가격이 시세의 60% 수준에 불과하다며 시장의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가격대를 높여야 한다는 분위기다.
전세보증금 회수해 재분양 추진
"매각 대신 단기임대 전환" 주장도
"신청 자체가 리스크" 우려도 봇물
■"시세의 60%엔 못 판다"
3일 정부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감정가의 83% 수준에서 매입하겠다고 하지만 그 감정가 자체가 시세보다 한참 낮다"며 "결국 시세의 60% 수준에 넘기라는 것인데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지방의 중소 1xbet mobile사들은 "감정 절차를 통과해도 실질적인 매입까지 이어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지방 일부 1xbet mobile사는 '할인분양'이나 '저가 임대'로 눈을 돌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같은 상황에선 LH에 매각하는 것보다 전세보증금이라도 받아 자금을 회수하는 게 낫다"며 "나중에 시장이 회복되면 재분양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임대 전환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 LH 매입 정책도 결국 지난해 1xbet mobile사 보유 토지 매입과 마찬가지로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며 "시장과 괴리된 기준이 지속된다면 정책 참여는 극소수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일부 중소 1xbet mobile사들은 정책 참여에 대한 부담도 토로하고 있다. 업체명 공개에 따른 부정적 인식, 정책 참여가 재무 건전성 악화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청 자체가 리스크'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했다. 한 지방 업체 관계자는 "회사 이름이 기사화되면 금융권과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해석할까 두렵다"며 "어지간하면 자체 해결을 시도하려는 이유"라고 밝혔다.
■매입가 현실화·구조 개편 촉구
이처럼 저조한 신청률 속에 업계는 LH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매입가 현실화와 조건 완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단순히 제도만 만들고 끝낼 게 아니라 시장과 소통하며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 차원의 후속 조치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분양대행업체 관계자는 "지방 시장에선 가격 유연성이 핵심인데 LH는 과거 논란을 의식한 듯 지나치게 보수적인 가격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매입 물량을 확대하려면 유연한 가격 정책과 함께 감정평가 기준 자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지방 시장의 공급 과잉 구조 자체에 대한 재점검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부동산 개발 속도에 비해 실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한 상태에서 공급만 밀어붙인 결과라는 것이다.
1xbet mobile산업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단기 임대 전환이나 매입 정책은 응급처치일 뿐, 근본적 해법은 지역 수요를 반영한 공급 조절과 1xbet mobile사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