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업무 시키기 불가능… 전역 후 국가부름 받는 예비역 제도 필요"

[파이낸셜뉴스] 최근 군의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탈조선하라' 등 강경 발언을 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대한민국 의료 체계를 향해 작심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이 병원장은 지난 21일 공개된 한국국방연구원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의사가 됐으면 당연히 군인 장교로 가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젊은 의사들이 장교의 길을 가지 않고 이탈해서 일반병으로 오고 있다"면서 "저희 부대만 해도 의사들이 이병으로 들어온다. 그러면 의사 업무를 시키는 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까다로운 법규나 규정들 때문에 병사들에게 많은 책임을 지울 수 없다. 이들 또한 빨리 복무를 마치고 나갈 테니 단순 업무를 달라고 한다"며 현장의 어려움을 말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 있을 때 경험을 들어 '예비역 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병원장은 “(미국에서) 나를 가르친 교수님은 네 번이나 파병됐다. 항공모함뿐 아니라 전방작-전 기지까지 헬기 타고 이동해서 다친 군인들을 살려냈다”면서 "전역해도 국가의 부름이 있다면 콜업돼 현장에 배치된다. 이런 예비역 제도가 잘 마련되지 않으면 굉장히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군 의료’라고 하면 다른 것 같지만, 일반인이나 군인 치료하는 프로토콜이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결국 민간 의료의 고도화된 부분을 군 의료와 공유하면서 점점 경계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병원장은 인구 감소의 여파로 의료 자원이 줄어드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전했다.
그는 "병사뿐 아니라 장교 자원, 조종사 자원, 의사 자원, 간호사 자원이 다 없어진다"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생각을 해야 한다. 군 의료와 민간 의료로 갈라지고, 정부 각 부처마다 병원 따로 만들면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디로든 달려가는 1xbet 우회 특별 그룹을 제외하고는 국가 전체 의료 자원의 틀로 봐야지 군 의료만 따로 발전시키기는 어렵다. 의료라는 자산을 냉정하게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병원장은 충북 괴산의 한 훈련소에서 군의관 후보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조선 반도는 입만 터는 문과 X들이 해먹는 나라", "조선에는 가망이 없으니 탈조선 해라" 등 한국 사회를 비판하며 주목받았다. 논란이 커지면서 지난 21일 이 병원장은 국방부 담당자에게 "군의관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한 말이지만 결과적으로 죄송하다"는 취지로 사과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