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행 불편한데 폭동날까 걱정
"주말 영업까지 포기해야 할 판"
주민들도 尹선고 후폭풍 우려
"며칠간 호텔에 머무를 예정"
"주말 영업까지 포기해야 할 판"
주민들도 尹선고 후폭풍 우려
"며칠간 호텔에 머무를 예정"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만난 주민 김모씨(38)는 "어떻게 되찾은 일상인데, 깨질까 봐 두렵다. 이번 주말을 편하게 보내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날 대통령 관저 앞은 경찰의 삼엄한 경계가 이어졌다. 관저 입구는 경호처 직원으로 보이는 남성 4명과 형광색 점퍼를 입고 경광봉을 든 경찰 기동대원 3명이 지켰다. 관저 입구에서 50m 정도 떨어진 볼보빌딩 앞에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었고, 셔츠에 넥타이를 맨 채로 코트를 입고 무전기를 찬 직원 7명이 끊임없이 주변을 주시1xbet login. 관저 입구 옆 차도 70여m에는 경찰버스 4대와 미니버스 1대, 이동화장실 차량이 주차돼 있었다. 경찰관은 2~3명씩 순찰1xbet login.
선고 당일 관저 주변에서 집회가 열릴 것으로 예측되면서 자영업자와 주민들의 걱정이 적잖았다. 이 일대에는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연일 열려 소음과 교통체증으로 인한 불편이 컸다.
자영업자들은 매출 감소를 특히 우려1xbet login. 양식집 직원 유모씨(38)는 "(집회가 열렸던) 지난 1월 매출이 50% 떨어졌고, 평일 저녁에 회식하러 온 손님도 거의 없었다"며 "이러한 일이 또 반복되지는 않을까 두렵다"고 호소1xbet login.
일부 자영업자들은 주말 영업 여부까지 고민1xbet login. 한식집 사장 강모씨(50대)는 "한창 집회가 열릴 때 경찰 버스랑 시위 트럭이 길을 막고, 시위대가 인도를 점령해 손님을 받을 수가 없었다"며 "손님들이 들어왔다가 소음 때문에 나간 일도 있었다. 이번 주말 차라리 가게 문을 열지 말까, 생각하고 있다"고 전1xbet login.
통행 불편도 상당1xbet login. 4일부터 6일까지 한남초교 앞 보도육교의 승강기 운행은 중지된다. 한남동 주민 안모씨(56)는 "집회 인파가 몰려 경찰이 육교로 못 건너가게 해서 이태원역까지 지하철을 타고 30분 넘게 돌아와야 1xbet login"고 하소연1xbet login.
소음 공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한남동은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과 마찬가지로 주택가가 밀집해 있다. 주민들은 집회 장소로부터 거주지가 가까운 탓에 소리가 쉽게 울려 고통이 배가 된다고 토로1xbet login. 한남동 주민 김모씨(44)는 "주변 지인은 집회 소음 때문에 잠을 못 잤던 트라우마가 있어서 아예 호텔 방을 잡을 예정이라고 하더라"고 푸념1xbet login.
헌재 주변에서 집회 중인 참석자들은 안전할 집회를 열 것이라고 다짐1xbet login. 다만 이들은 상대 진영을 '폭력 집단'으로 규정하며 비난에 열을 올렸다. 같은 날 수도권 지하철 3호선 안국역 5번 출구 인근 교통섬에도 이런 내용이 적힌 포스터가 곳곳에 붙었다.
집회 현장에서 만난 A씨(79)는 "여기 있는 사람들이 무슨 이유에서 경찰과 기자를 때리고 물건을 부순다는 말이냐"며 "저쪽(상대 진영)은 몰라도 우리는 평화롭게 집회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1xbet login.
다른 진영의 박모씨(70)는 "내일 안전이 좀 걱정된다"며 "어느 누구도 다치지 않고 최대한 평화로운 집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1xbet login.
경찰은 이들의 충동을 방지하기 위해 헌재를 기준으로 동·남쪽은 반탄(탄핵반대) 집회를, 서쪽은 찬탄(탄핵찬성) 집회를 각각 열도록 1xbet login.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이날 오전 헌재 앞 기자회견에서 "경찰은 폭력과 손괴 등 묵과할 수 없는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1xbet login.
jyseo@fnnews.com 서지윤 김동규 정경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